생산성 향상, 기업실적 개선으로 이어져

생산성 향상의 원인은? 지난 시간 2000년대부터 일본의 생산성이 빠르게 향상되었다고 이야기한 바 있다. 흔히 ‘잃어버린 30년’으로 일본경제를 묘사하곤 하지만, 적어도 생산성 면에서는 부활이 시작된 지 거의 20년이 되어가는 셈이다. 물론 2017~2019년에는 다시 생산성 향상속도가 둔화되었지만,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 이후 빚어진 ‘미·중 무역 분쟁’으로 수출이 어려움을…

퇴직연금 적립금 295.6조원, 그러나 수익률은..

💡지난 해 발간된 퇴직연금 관련 자료 한편 공유합니다. "퇴직연금 1년만에 40조원 증가, 총 적립금 295.6조원 달성"이라는 자료인데, 고용노동부와 금융감독원이 함께 작성했습니다. 295.6조원이니 어마어마한 규모인데, 안타깝게도 운용의 성과는 장기 부진이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220418 1 40 2956 4 220418 (보도자료) 퇴직연금 1년만에 40조원 증가, 총…

인플레와 경기, 그리고 주가의 관계는?

📘최근 인플레가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인플레가 발생할 때, 한국경제와 증시는 어떻게 되느냐"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인플레 초기는 행복한 동행, 인플레가 통제 라인을 넘어설 때에는 불행이 시작된다"고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물론 그 통제라인이 얼마냐에 대한 답은 드릴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중앙은행마다,…

인플레가 발생하면 부동산은 어떻게 될까?

아래 <그림 >은 필자가 운영하는 유튜브채널(홍춘욱의 경제강의노트)에 '인플레 발생하면 부동산이 좋지 않나요'라는 질문이 달렸기에 그려본 것입니다. 인플레가 이전에 비해 높아지는 시기(1970년대 초, 1980년대 초, 1990년 전후, 2008년 등)에 항상 실질주택가격이 급락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번은 어떨까요? 현재까지만 보면 물가가 오르는…

미국 고령 인구의 은퇴가 늘어나는 이유는?

💡미국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은 코로나19 사태로 조기 은퇴한 미국인이 평상시보다 300만 명 많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또한 미 노동부가 공개한 9월 자발적 퇴직은 정부가 구인·이직 보고서 작성을 시작한 2000년 이후 역대 최고인 440만 건입니다. 이러한 은퇴 붐은 인력난을 가중시켜 임금을 인상하고 있고, 이는 높은 미국 소비자 물가 상승률에 영향을 끼치고…

식료품 소비자물가가 치솟는 이유는?

💡최근 IMF는 "Four Facts about Soaring Consumer Food Prices(식료품 가격 급등을 부른 4가지 요인)"이라는 보고를 통해, 생산물 가격의 상승이 어떻게 식료품, 더 나아가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습니다. 오늘은 이 보고서 내용을 번역해 보았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의 원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문 링크 Four Facts about…

한국수출은 어떻게 예측할 수 있을까?

한국 주식시장의 성과를 좌우하는 가장 결정적인 요인은 수출이다. 수출이 잘되면 기업실적이 개선되며, 또 기업실적의 모멘텀이 지속될 것이라는 기대 속에 시중자금도 대거 주식시장에 유입되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 주식시장은 세계 최저 수준의 배당 수익률을 기록 중이고, 이 결과 주식시장에 장기투자자보다는 모멘텀. 다시 말해 시장의 변화 방향을 추종하고 또 예측하려는 투자자들로 넘쳐 흐르게…

대출 증가세가 꺾이면, 집값은?

최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2021년 7월 중 가계대출 동향" 자료에 따르면, 전 금융권의 가계대출은 한 달 동안 15.2조원 늘어난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특히 주택담보대출이 전월에 비해 7.5조원 늘어나는 등 주택시장으로 유동성이 집중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정책당국은 강력한 대출 억제 정책을 실행에 옮기는 모습입니다('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