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령화는 인플레에 어떤 영향 미치나?

박종훈 기자의 신작 "자이언트 임팩트"를 읽었습니다. 이 책은 기본적으로 중국의 디플레 수출이 일단락 되는 가운데, 주요 선진국의 고령화, 그리고 세계화의 종말 영향으로 앞으로 인플레가 심화될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매우 설득력 있는 주장이지만, 저는 이 의견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책 내용은 매우 흥미로웠고.. 특히 다양한 통계와 연구 보고서에 입각해…

로봇 보급이 늘어나면 일자리가 줄어들까?

제목 그대로 매우 흥미로운 논문(산업용 로봇 보급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이 조세재정연구원에서 발간되었기에 소개합니다. 일단 팩트부터 체크하자면,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로봇 도입이 활발한 나라입니다. 가파르게 상승한 인건비, 강력한 노동조합, 그리고 정부(특히 지방정부)의 강력한 규제가 만들어 낸 현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과 비슷한 산업구조를 가진 나라(독일 등)…

주택시장의 불황을 유발하는 요인?

선진국 주택시장의 오랜 호황이 각국 중앙은행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 속에 끝났습니다.  호주는 주택 가격이 5개월 연속 하락하였고, 캐나다와 스웨덴에서는 2월 이후 8% 이상 하락했습니다. 뉴질랜드에서는 작년 최고점 이후 12% 이상 하락했습니다. 미국과 영국에서도 가격이 하락하기 시작했습니다. 거래량도 많이 줄었습니다. 미국의 8월 주택 판매는 전년도에 비해 5분의 1 감소했습니다. 뉴질랜드의 6월…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 문제점과 해결 방안은?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급격히 떨어져, 90년대 이후 처음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뒤쳐질 것 같습니다. 오랫동안 중국의 성장을 이끌던 부동산 레버리지 투자에 대해 중국 정부가 대대적인 단속을 하면서 부동산 위기가 발생했고 금융 및 경제 전반에 위협을 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부동산이 기여하던 부분을 소비로 대체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미국 3분기 경제성장률, 2.6%!

10월 28일, 미국 경제분석국(BEA)은 『2022년 3분기 경제성장률(속보치)』를 발표했습니다. 3분기 미국 경제는 +2.6% 성장함으로써, 1~2분기의 마이너스 성장에서 벗어났습니다. 어떻게 미국 경제가 반등에 성공했는지 분석해 보겠습니다. <그림 1> 미국 경제성장률(전 분기 대비 연율, %) 💡 전 분기 대비 연율(Annual Rate)이란, 지난 분기 대비…

원화와 엔, 그리고 중국 위안화는 얼마나 저평가되었나?

최근 달러의 강세 속에 아시아 주요 통화의 가치가 급락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각국 통화의 실질실효환율 추이를 통해, 저평가/고평가 여부를 측정해보려 합니다. 각국 통화의 가치가 매우 저평가되어 있다면 추가적인 가치 하락의 위험은 낮을 것이며, 반대로 고평가된 상태라면 달러 강세의 충격을 앞으로 더 크게 받을 수도 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실질실효환율(Real Effective…

IMF, 2023년 세계경제전망 하향

10월 11일, 국제통화기금(IMF)은 정례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IMF는 2022년 세계경제가 3.2%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2023년 전망을 기존 2.9%에서 2.7%로 0.2% 포인트 하향 조정했습니다. 한편 2022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은 기존 2.3%에서 2.6%로 상향했으나, 2023년 전망은 2.…

IMF, 2023년 세계경제전망 하향

10월 11일, 국제통화기금(IMF)은 정례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IMF는 2022년 세계경제가 3.2%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2023년 전망을 기존 2.9%에서 2.7%로 0.2% 포인트 하향 조정했습니다. IMF의 이코노미스트들은 2023년까지 세계경제의 성장 탄력은 둔화될 것이며 불황의 위험을 초래한 인플레가 2022년 정점을 지나 약화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