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시장 상황으로 보는 내년 인플레 전망

미국의 인플레 압력이 부동산 시장 침체 영향으로 완화되고 있습니다.  새로 계약되는 주택들의 임대료가 점점 하락하는 추세이며, 매물로 등록되는 주택들의 임대료 역시 하락하는 추세를 보여 부동산 시장의 침체임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의 구성 중 약 40%가 주거비이기 때문에 2023년 인플레 전망은 현재보다 완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래> 그림은 기존 주거비…

2023년 경제 및 자산시장 전망

트리플 약세, 자산시장 강세로 반전될 듯 💡지난 2022년을 돌이켜보면, 2018년 이후 가장 투자하기 힘들었던 해로 기억될 것 같다. 연말이 다가오며 주식 및 채권시장이 다소 회복되었기에 망정이지, 자칫하면 부동산, 채권, 주식 등 주요 자산가격 모두가 하락세로 마감할 뻔했기 때문이다. 자산시장이 어려움을 겪게 된 원인을 살펴보는 한편, 각 시나리오별로 2023년의 변화 방향을…

현재 가장 투자하기 좋은 나라는 미국?

2021년 외국인직접투자가 가장 많이 증가한 나라는 미국이었습니다. 미국의 지난 한 해 외국인직접투자 증가율은 11.3%(5,060억 달러)로, 국제통화기금(IMF)이 실시한 설문에 참여한 112개 나라의 평균 외국인직접투자 증가율 2.3%를 훨씬 상회하는 수준입니다. 조세 회피를 목적으로 하는 외국인직접투자의 규모가 상당한데, 최근 전세계적으로 관련 법을 개정해 점점 그…

경제 전망 시리즈 2 - 2023년 달러에 대한 원화 환율은?

지난 시간에 2023년 우리 경제에 대해 예측하면서, 소비자 물가가 연간으로 3% 초반 전후의 상승률에 그칠 것이라고 이야기한 바 있습니다. 인플레 압력이 약화된 가장 직접적인 이유는 환율의 하락 압력이 높기 때문인데, 오늘은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달러에 대한 원화 환율 상승 원인은? 달러 강세! 2022년 달러에 대한 원화 환율이 한 때…

경제 전망 시리즈 2 - 2023년 달러에 대한 원화 환율은?

지난 시간에 2023년 우리 경제에 대해 예측하면서, 소비자 물가가 연간으로 3% 초반 전후의 상승률에 그칠 것이라고 이야기한 바 있습니다. 인플레 압력이 약화된 가장 직접적인 이유는 환율의 하락 압력이 높기 때문인데, 오늘은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달러에 대한 원화 환율 상승 원인은? 달러 강세! 2022년 달러에 대한 원화 환율이 한 때…

가속화되는 한국의 고령화, 대처 방안은?

저출산 흐름이 지속되는 가운데 한국의 고령화 속도가 점점 더 빨라지고 있다는 경고의 목소리가 높습니다. 아래 <그림>은 한국과 전세계의 생산가능인구 비율의 변화를 보여주는데, 한국의 생산가능인구의 감소 속도가 매우 가팔라 약 2030년에는 전세계 생산가능인구 비율을 하회하고 이후에는 격차가 급격히 벌어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림> 한국과 전세계의…

지금은 주식을 사야할 때일까?

CTA(Commodity Trading Advisors) 펀드들이 최근 발표된 소비자물가지수의 상승세가 예상보다 낮자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이후 가장 빠른 속도로 주식을 매입하고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CTA 펀드들의 주식 비중 추이를 보여주는데 올해 들어 처음으로 주식 비중을 늘리고 있으며 그 속도가 매우 가파름을 알 수 있습니다. 지난 한 달 동안…

1997년 외환 위기 때 외채 현황

이번 시간에는 1997년 외환위기 전후 외채상황을 살펴볼까 합니다. 아래의 <표 7>은 1997년 외환위기 당시 외채 현황인데, 참 아무 생각 없이 살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단기외채(만기 1년 미만으로 해외에서 빌린 돈)가 1992년 370억 달러가 1995년에는 787억 달러가 되고, 1996년에는 1천억 달러까지 늘어난 것을 알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