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omberg, “코로나 이후, 세계 출산율 동반 붕괴!”

프리즘 투자자문에서는 2022년 12월 18일부터 매주 일요일 “Chart로 보는 세계 경제”라는 제목의 뉴스 레터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
이번 시간에는 세계적인 통신사, 블룸버그의 칼럼(”Destiny and Danger Where Demography Meets Finance”)을 소개합니다. 최근 중국의 출산율 붕괴에서 극적으로 나타나듯, 세계 출산율의 동반 급락 현상이 출현 중입니다. 일각에서는 세계 인구의 정점을 이미 경과했을지도 모른다는 주장마저 제기되고 있죠. 여기에 세계화의 종말까지 가세하면, 어떤 변화가 나타날까요? 아직은 불명확합니다만, 이 칼럼 덕분에 세계 경제에 중요한 변화가 출현한 것을 알아차리게 됩니다.

고령화 및 저출산 문제는 꽤 오래 전부터 정책당국자의 주된 관심사였습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금융 및 산업계에서도 이 문제에 주목하기 시작한 것 같습니다. 특히 코로나 팬데믹 이후의 급격한 인구 변동이 이런 흐름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출산율 급락 현상 출현

인구 통계는 매우 느리게 변화하기 때문에 그 영향을 무시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코로나 팬데믹은 출산율이 예상보다 훨씬 더 빠르게 감소할 수 있다는 두려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HSBC의 글로벌 이코노미스트, 제임스 포메로이는 다음과 같이 주장합니다.

우리는 경제적 우려, 사회적 변화, 그리고 팬데믹 여파로 인해 출산율이 앞으로 훨씬 더 낮은 수준으로 떨어질 수 있다고 경고해 왔습니다. 최근 몇 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출산율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가 한꺼번에 발생한 것처럼 보입니다.

실제로 출산 감소는 지역에 따라 큰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놀라울 정도로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림> 2022~2023년 출산 변화(%)


팬데믹이 우선 순위를 뒤흔들었습니다!

불확실성이 부각될 때마다 젊은 부부들은 출산을 지연시킬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물론 시간이 지나면서 저절로 회복될 일시적인 이벤트일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당분간 구조적인 감소를 예상해야 할 이유가 있습니다.

포메로이가 지적했듯, 30대 부부가 더 이상 집을 살 여력이 없고 자녀 교육비가 비싸질 것으로 예상되면 출산을 미루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사람들이 더 오래 기다리면 전체 출산율은 떨어질 것입니다. 또한 여성의 취업율 상승은 출산 시기를 뒤로 늦추는 경향을 강화 것입니다:

<그림> 미국 25~34세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왼쪽) 영국 35세 이상 여성의 출산 비율(오른쪽)


중국의 출산율 급락!

중국의 엄청난 인구 규모와 정부의 강력한 출산 정책에 대한 기억 때문에, 인구 통계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잘 인지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Gavekal Dragonomics의 에르난 쿠이가 작성한 이 차트에서 알 수 있듯이, 중국의 신생아 수는 최근의 예측보다 훨씬 빠르게 감소하고 있습니다. 가임 연령 여성의 수가 계속 감소하면 출산율은 더 낮아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림> 가임 연령(15~49세) 여성 변화율과 신생아 수(파란선은 UN 인구계획 예측치)


중국과 다른 나라의 경험을 비교하면?

다른 선진국도 오랜 전부터 신생아 수가 급격히 감소했습니다. 특히 일본은 1973년부터 출산율이 급격히 떨어지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쿠이의 연구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중국은 2016년 정점을 찍은 이후 신생아 숫자의 감소 속도가 다른 어떤 나라보다 빠릅니다.

<그림> 중국과 독일 그리고 일본의 신생아 수 정점(0) 이후 변화


인구학은 운명이다!

"인구학은 운명이다"라는 격언은 프랑스의 '사회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오귀스트 콩트(Auguste Comte)가 남긴 말입니다. 전 세계 출산율이 매년 3%씩 계속 하락한다면 인구 증가에 대한 전망은 근본적으로 바뀌어야 합니다. 실제로 HSBC의 계산이 맞다면 세계 인구의 정점이 임박했으며 금세기 후반에는 감소세를 보일 것입니다:

<그림> 세계인구 추세 및 전망(붉은 선은 세계 신생아 숫자가 매년 3% 떨어질 때)


탈세계화

아무도 놀라지 않겠지만 세계화는 쇠퇴하고 있습니다. 유엔무역개발위원회(UNCTAD)에 따르면, 외국인 직접투자는 끔찍한 2022년 이후 작년에 소폭 증가했지만, 신흥국으로의 FDI는 감소세로 돌아섰습니다.

코로나 팬데믹 충격으로부터는 회복되고 있지만, 미-중 관계 악화 영향으로 신흥국으로의 FDI 후퇴하고 있는 것이 분명합니다. 이러한 추세를 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림> 선진국 및 신흥국으로의 외국인 직접투자(FDI)


물론 이상과 같은 변화가 경제에 어떤 변화를 일으킬지는 불명확합니다. 선진국 및 일부 신흥국 인구가 생각보다 빠르게 줄어들고, 세계화가 후퇴하면 무엇보다 근로자들의 협상력이 올라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리고 이는 기업들의 혁신 투자를 자극하게 되죠. 왜냐하면 상대적인 노동력 가치의 상승은 기업들 입장에서는 더 효율적인 도구(및 기계장치 등)를 도입할 인센티브를 주기 때문입니다. 어쩌면 1980년대 말 같은 거대한 혁신의 물결이 이미 우리 앞에 와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